728x90

분류 전체보기 30

앱 출시 후 정책 위반으로 인한 삭제

연휴 동안 구글로 부터 정책위반으로 앱이 삭제되었다는 메일을 받았습니다.삭제 사유는 "앱이 명시적 공개 없이 사용자의 Image 정보를 업로드 하고 있습니다." 입니다. 그런데 삭제된 앱은 이미지관련 작업을 하지 않는, 공공 데이터 포털의 api를 조회 하여 결과를 보여주는 앱들인데어떤 사용자의 이미지를 어디에 업로드 하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 사유였습니다. 스마트메이커 측에도 문의해봤지만 스마트메이커측에서도 이미지수집은 하지 않는다고 하였습니다. 구글에 이의신청을 해서 어떤 이미지를 어디에 업로드하는지 알려달라 했지만 돌아온 대답은 역시 정책을 위반했으니 수정해라 였습니다. 이미지를 수집하지도 않고,이미지를 사용하지도 않고 업로드하지도 않는 상황에서 뭘 어떻게 수정하라고 하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이..

앱 개발 2025.05.08

스마트메이커로 게임개발?

스마트메이커 카페에서 고수분들이 만드는 예제중에는 간단한 게임들이 있는데사실 게임은 전용 툴로 만드는게 편하고, 스마트 메이커 카페에서도 게임제작을 추천하지 않음,그런데 다른 건 몰라도 ~키우기 같은 것들 중 클리커 게임은 만들 수 있을 것 같긴 함스마트 메이커의 장점중 하나가 UI 컨트롤인데 일본식 연애 시뮬레이션 게임이나 택틱스 어드벤처 같은 스타일의 게임도 만들 수 있을 것 같은데..실제 게임은 만들어 본 적은 없기에 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한 번 생각해 볼 만 하기는 한듯? 앱 스토어를 구경하다 '마라탕 키우기'라는 걸 발견 했는데, 이걸 참조해서 비슷하게 연습용 개발을 한번 해보려 한다.과연 완성할 수 있을 까?...

앱 개발 2025.05.07

스마트메이커 개발 후기

스마트 메이커를 어느정도 사용하고 나서 느낀점​일단은 만들기가 편하긴 함, 처음에는 익숙하지 않아서 그런지 코딩으로 개발하는 쪽이 낫지 않나 싶은 생각도 있었는데 어느 정도 익숙해지고 나니 간단한 앱은 큰 수고 없이 만들 수 있음​예전에 쓴 글은 2시간은 좀 무리인 것 같다고 했는데 단순 조회 앱 같은 것은 2시간이면 공장에서 생산하듯이 만들수 있고그 2시간도 UI 와 등록,수정,삭제,조회등의 기본 기능을 만드는 것보다 디자인이 대부분 임물론 어느정도 규모 있는 앱을 만드려 할 경우 답답하거나 손이 많이 가기도 함​진행관리자나 업무규칙등을 사용하게 되면 좀 복잡하고 쉽지는 않음, 특히 업무규칙 같은 경우 어떤 내장 기능들이 있는지 정리된 문서나 가이드가 없어서(있는데 못 찾았을 수도 있습니다.) 사용하기..

앱 개발 2025.05.07

앱 출시 후 수입

스마트메이커로 한 50여 개의 앱들을 출시 했습니다.대부분이 이런 저런 경험 쌓기용으로 만들어본 앱들이지만 일단 수익이 발생하는지 궁금했습니다. 50여개의 앱 중에 그나마 수익이 발생하는 것들은 3~4개 정도 이고 총 합은 한달에 무려 0.3달러 수준입니다.무엇보다 수익이 발생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다운로드수가 거의 없다는 것입니다. 가끔 다른 사람들이 만든 앱을 보다보면 굉장히 잘 만들은것 같은데 다운로드 수가 적은 경우도 있고 별거 없는 것 같은데다운로드 수가 많은 경우도 있어 역시 마케팅이 중요하다고 느꼈습니다. 지인찬스 외에도 SNS를 이용한 방법이 효과가 좋다고 하는데 이제는 앱 개발 보단 홍보 쪽을 공부해야 할 것 같습니다.

앱 개발 2025.04.27

구글 플레이스토어 심사거부 사례 - 혼돈을 야기하는 주장 관련 정책 위반

이번에 소개할 심사거부 사례는 혼돈을 야기하는 주장관련 정책 위반 입니다.이것도 왜 거부 당하는 건지 이해 못하는 것 중 하나인데, 정부와 무관하다는 내용이 필요하다는 것 이었는데, 공공데이터 포털의 공개 api를 사용하는 앱인데 어떤 거는 아무일 없이 출시되고 어떤거는 거부되는 것인지 알 수가 없었습니다. 발견된 문제 : 혼동을 야기하는 주장 관련 정책 위반 - 앱에 정부 정보의 명확한 출처가 제공되지 않거나, 앱이 정부 기관을 대표하지 않는다는 내용의 면책조항이 설명에 잘 표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해서 처음에는 공공데이터포털을 사용한것이다 라고 내용을 추가 했지만 다시 리젝 당했습니다.다음에는 정부기관과는 무관한 개인개발 앱이다라는 내용을 추하 했지만 또 리젝 당했습니다. 인터넷 검색을 해보니 "법적..

앱 개발 2025.04.27

구글 플레이스토어 심사거부 사례 - 잘못된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번에 소개할 심사거부 사례는 개인정보처리 방침 문제 입니다.공공데이터 포털에서 제공하는 api를 이용한 앱들을 만들었을 때 대부분은 출시되는데, 가끔 개인정보 처리 방침이 잘 못되었다며거부되는 경우가 있는데, 솔직히 기준은 잘 모르겠습니다. 발견된 문제 : 잘못된 개인정보처리방침앱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이 필수 정책 요구사항을 충족하지 않습니다. - 앱의 Google Play등록정보나 앱에 명시된 법인(예 : 개발자,회사)에 관한 언급이 누락되었습니다. 보통 개인정보처리 방침은 블로그 하나 생성해서 작성하고 여러앱의 공용으로 사용하는데, 이런 경우 새글을 하나 작성하여 개별 링크로 처리하였습니다,개인정보 처리 방침에 앱의 이름을 넣고 (ex) XXX 앱은 개인정보를 어쩌구 저쩌구 처리 합니다.) 개인정보 ..

앱 개발 2025.04.27

구글 플레이스토어 심사 거부 사례-뉴스 정책 위반

이번에 소개할 심사 거부는 좀 특수할 수 있는 사례입니다. 발견된 문제 : 뉴스 정책 위반"뉴스" 로 선언된 앱은 구글의 뉴스 정책 요구 사항을 충족해야 한다고 합니다.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knowledgeware.modelexecutor80.dansinnews_3987047507&hl=ko 단신속보뉴스 - Google Play 앱공공데이터포털에서 제공하는 해외속보 조회 앱입니다.play.google.com 기본적으로 뉴스의 출처와 기사의 작성자 표시, 관련 연락처 등을 앱이나 스토어등록정보에 표시하면 됩니다. 이렇게 앱 하단 부에 관련 기관 및 링크, 연락처를 표시해 주었고 무사 출시 되었습니다.

앱 개발 2025.04.16

구글 플레이스토어 심사 거부 사례-기능, 콘텐츠, 사용자 환경 정책 위반

이번에 소개할 심사거부 사례는 솔직히 좀 어이 없다고 생각되는 경우 였습니다. 발견된 문제 : 기능, 콘텐츠, 사용자 환경 정책 위반- 앱이 정적이며 특정한 기능을 포함하지 않고 있습니다. https://gandanno1.tistory.com/15 스마트메이커로 만든 앱 출시 5다양한 분야의 용어들을 설명하는 앱을 만들었습니다.똑같이 같은 앱에 주제만 바꿔서 대량으로 만들어본 앱입니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knowledgeware.modelexecutor80.healthbohum_2947877gandanno1.tistory.com이 용어 사전 앱을 처음 출시 했을 때 위의 이유로 거부 당했습니다.특정한 기능이 없다고 거부당한걸 이해 할..

앱 개발 2025.04.16

구글 플레이스토어 심사 거부 사례 -손상된 기능 정책 위반

앱을 여러개 만들어 플레이스토어에 등록하다 보니 심사 거부 사례도 많이 발생하였습니다.그 중에서 빈도수가 높았던 사례들과 해결한 방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발견된 문제 : 손상된 기능 정책 위반비정상 기능 정책을 준수하지 않는 콘텐츠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앱에 응답하지 않는 아이콘이나 버튼이 포함되어 있음 앱애 응답하지 않는 아이콘이나 버튼이 포함되어 있음 -> 이부분은 오류에 따라 다르게 나오며 주로 앱이 정상작동하지 않을 경우 받은 메일 내용입니다. 주로 테스트를 충분히 하지 않거나 개발중인 버전을 올리는등 개발자의 실수인 경우가 많지만 가끔 전혀 문제가 없는데 뭐가 작동하지 않는지 모를 경우가 있습니다. 전에 이상 없다고 생각해서 버전만 수정해서 몇번 올렸다가 앱이 삭제당하고 계속 정책 위반시 계..

앱 개발 2025.04.01

개발자로 취업하고 나면 끝일까?

SI SM 솔루션 구분안하고 일단 취업하고 보자 해서 취업을 하면, 이제 다 끝났다, 고생끝 행복시작적당히 회사다니며 일하다 집에와서 치맥하며 넷플릭스(혹은 유튜브)나 봐야겠다 하고 생각할 수 있을지 모르나현실은 그럴수 없는 경우가 더 많다는 것..​본인이 원하는 회사를 들어갔거나 별기대 없이 입사했는데 의외로 괜찮은 회사거나 할 경우가 아닌 다음에는늘 살아남기 위한 계획을 세워야 한다. 그러나 신입때는 회사에서 시키는 것만 하기도 힘들고 스프링은 여전히 모르겠고 자바스크립트도 보다보면 vue가 어쩌고react저쩌고 할거 많아 보이는데 뭘 어떻게 해야 하는지 막연하기만 하다..남들은 퇴근하고 책도보고 학원도 다니고 동강도 듣고 한다는데 ...퇴근하고 공부하는 건 사실 굉장히 독하게 맘먹기 전에는 힘들고,..

개발이야기 2025.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