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플레이스토어리젝 5

구글 플레이스토어 심사거부 사례 - 혼돈을 야기하는 주장 관련 정책 위반

이번에 소개할 심사거부 사례는 혼돈을 야기하는 주장관련 정책 위반 입니다.이것도 왜 거부 당하는 건지 이해 못하는 것 중 하나인데, 정부와 무관하다는 내용이 필요하다는 것 이었는데, 공공데이터 포털의 공개 api를 사용하는 앱인데 어떤 거는 아무일 없이 출시되고 어떤거는 거부되는 것인지 알 수가 없었습니다. 발견된 문제 : 혼동을 야기하는 주장 관련 정책 위반 - 앱에 정부 정보의 명확한 출처가 제공되지 않거나, 앱이 정부 기관을 대표하지 않는다는 내용의 면책조항이 설명에 잘 표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해서 처음에는 공공데이터포털을 사용한것이다 라고 내용을 추가 했지만 다시 리젝 당했습니다.다음에는 정부기관과는 무관한 개인개발 앱이다라는 내용을 추하 했지만 또 리젝 당했습니다. 인터넷 검색을 해보니 "법적..

앱 개발 2025.04.27

구글 플레이스토어 심사거부 사례 - 잘못된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번에 소개할 심사거부 사례는 개인정보처리 방침 문제 입니다.공공데이터 포털에서 제공하는 api를 이용한 앱들을 만들었을 때 대부분은 출시되는데, 가끔 개인정보 처리 방침이 잘 못되었다며거부되는 경우가 있는데, 솔직히 기준은 잘 모르겠습니다. 발견된 문제 : 잘못된 개인정보처리방침앱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이 필수 정책 요구사항을 충족하지 않습니다. - 앱의 Google Play등록정보나 앱에 명시된 법인(예 : 개발자,회사)에 관한 언급이 누락되었습니다. 보통 개인정보처리 방침은 블로그 하나 생성해서 작성하고 여러앱의 공용으로 사용하는데, 이런 경우 새글을 하나 작성하여 개별 링크로 처리하였습니다,개인정보 처리 방침에 앱의 이름을 넣고 (ex) XXX 앱은 개인정보를 어쩌구 저쩌구 처리 합니다.) 개인정보 ..

앱 개발 2025.04.27

구글 플레이스토어 심사 거부 사례-뉴스 정책 위반

이번에 소개할 심사 거부는 좀 특수할 수 있는 사례입니다. 발견된 문제 : 뉴스 정책 위반"뉴스" 로 선언된 앱은 구글의 뉴스 정책 요구 사항을 충족해야 한다고 합니다.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knowledgeware.modelexecutor80.dansinnews_3987047507&hl=ko 단신속보뉴스 - Google Play 앱공공데이터포털에서 제공하는 해외속보 조회 앱입니다.play.google.com 기본적으로 뉴스의 출처와 기사의 작성자 표시, 관련 연락처 등을 앱이나 스토어등록정보에 표시하면 됩니다. 이렇게 앱 하단 부에 관련 기관 및 링크, 연락처를 표시해 주었고 무사 출시 되었습니다.

앱 개발 2025.04.16

구글 플레이스토어 심사 거부 사례-기능, 콘텐츠, 사용자 환경 정책 위반

이번에 소개할 심사거부 사례는 솔직히 좀 어이 없다고 생각되는 경우 였습니다. 발견된 문제 : 기능, 콘텐츠, 사용자 환경 정책 위반- 앱이 정적이며 특정한 기능을 포함하지 않고 있습니다. https://gandanno1.tistory.com/15 스마트메이커로 만든 앱 출시 5다양한 분야의 용어들을 설명하는 앱을 만들었습니다.똑같이 같은 앱에 주제만 바꿔서 대량으로 만들어본 앱입니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knowledgeware.modelexecutor80.healthbohum_2947877gandanno1.tistory.com이 용어 사전 앱을 처음 출시 했을 때 위의 이유로 거부 당했습니다.특정한 기능이 없다고 거부당한걸 이해 할..

앱 개발 2025.04.16

구글 플레이스토어 심사 거부 사례 -손상된 기능 정책 위반

앱을 여러개 만들어 플레이스토어에 등록하다 보니 심사 거부 사례도 많이 발생하였습니다.그 중에서 빈도수가 높았던 사례들과 해결한 방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발견된 문제 : 손상된 기능 정책 위반비정상 기능 정책을 준수하지 않는 콘텐츠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앱에 응답하지 않는 아이콘이나 버튼이 포함되어 있음 앱애 응답하지 않는 아이콘이나 버튼이 포함되어 있음 -> 이부분은 오류에 따라 다르게 나오며 주로 앱이 정상작동하지 않을 경우 받은 메일 내용입니다. 주로 테스트를 충분히 하지 않거나 개발중인 버전을 올리는등 개발자의 실수인 경우가 많지만 가끔 전혀 문제가 없는데 뭐가 작동하지 않는지 모를 경우가 있습니다. 전에 이상 없다고 생각해서 버전만 수정해서 몇번 올렸다가 앱이 삭제당하고 계속 정책 위반시 계..

앱 개발 2025.04.01